“공부는 ‘시간’에 비례할까요? 닥치고 공부만 하면 될까요?”
당연히, 아닙니다.
공부에도 방법이 있습니다. 효율적, 효과적으로 공부하시려면, 반드시 이 글을 정독하고 실천에 옮기시길 바랍니다.
공부해도 편입 성적이 안 오르는 3가지 이유 (팩트폭력 주의)
[편입 공부법 / 편입 슬럼프 / 공부 자극 / 메타인지]
🩺 당신의 성적이 오르지 않는 이유: 3가지 원인 진단
공부의 진전이 없다고 느끼는 데에는 여러 원인이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세 가지를 짚어드리겠습니다.
원인 1: 절대 공부량의 부족
하루 평균 8시간 공부하는 B학생, 많아 보이나요? 이 정도에 만족한다면, 당신은 아직 공부의 진척을 논할 단계가 아닐 확률이 높습니다. 하루 12시간 공부하는 A학생과 비교해볼까요?
하루 4시간의 차이, 7개월이면?
900시간
이 시간은 3만개의 단어를 외우거나, 문법 문제 3만개를 풀 수 있는 시간입니다. 보카바이블 3회독이 가능한 시간이죠. A와 B의 성적 차이는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징징대기 전에, 절대 공부량부터 체크하세요.
원인 2: “헛공부”를 하고 있다
정말 열심히, 오래 했는데도 성적이 안 나온다면, 죄송하지만 **”헛공부”를 했을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헛공부’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 기초 문법 이론도 모르면서, 편입 기출 문법을 풀고 있다.
- 기초 어휘(take, make)의 여러 뜻도 모르면서, versatile 같은 어려운 단어만 외우고 있다.
- 독해 한 지문 푸는데, 어휘 찾고 구문 분석하느라 1시간이 걸린다. (한 지문에 모르는 어휘는 최대 5개 이하여야 합니다.)
여러분, 조급하시죠? 하지만 합격하고 싶다면, 남은 100일 동안이라도 수준에 맞는 공부를 하세요. 베이스를 닦아야, 문제를 풀어도 흔들리지 않습니다. 지금이라도 돌아가세요.
원인 3: 긴장감의 부족
어느 정도 성적이 오르다 보면, 수험 생활이 루즈해질 수 있습니다. 이 루즈함을 깨고 성취감을 느끼려면, 반드시 주기적인 **’테스트’**가 필요합니다.
테스트는 긴장감을 불어넣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지 정확히 파악하게 하는 ‘메타인지’ 능력을 길러줍니다. 공부 잘하는 애들은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분명히 나누고, 모르는 것을 공부하는 데 시간을 씁니다. 하지만 못하는 친구들은 경계가 모호하니, 익숙하고 아는 것만 계속 보며 시간을 낭비합니다.
💊 최종 처방전: 합격으로 가는 3가지 길
- 공부 총량의 증가: 핑계대지 말고, 절대적인 공부 시간을 늘리세요.
- 커리큘럼의 수정: 자신의 수준에 맞는 공부를 하세요. 모르면 기초로 돌아가세요.
- 수험생활의 긴장감: 주기적인 테스트로 메타인지를 높이고, 나태함을 방지하세요.
위 세 가지가 충족됐는데 성적이 안 오르는 것은 말이 안 됩니다. 그러면 당신이 아이큐가 돌고래 수준이거나, 이 글조차 이해하지 못해야 합니다. 고로, 이 글을 읽고 있는 누구나 저 조건만 갖추면 지금보다 무조건 나아질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